티스토리 뷰
벌써 2017년도 하루밖에 남지 않았는데요,
다들 2018년 계획은 세우셨나요?!
저를 비롯한 많은 분들이 새해 계획으로 '저축하기', '돈 모으기' 등을 세우셨을 것 같은데요, 오늘은 이런 분들을 위해 저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축을 시작할 때에는 기준 부터 세워라!!
모든 일에 있어서도 그렇지만 저축에 있어서도 '기준'을 세우는 것은 중요합니다. 저축을 한다는 것은 지금 소비하고 싶은 것을 참고 돈을 금융 기관에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금융기관에 돈을 빌려주는 형태인 것이죠~!!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있어야만 하겠죠?
그렇다면 올바른 저축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그 기준은 바로 '구매력'입니다. 즉, 수익이 물가상승률 이상이 되어야만 올바른 저축으로 볼 수 있으며 만약 물가상승률보다 못한 수익이 나는 저축을 하고 계시다면 그건 손해를 보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물가상승률은 복리일까? 단리일까?
복리란 금전대차에서 변제기에 지급받은 이자를 원본에 가산하여 다시 또 이자를 낳게 하는 일이며 단리는 원금에 대하여서만 붙이는 이자를 뜻하는데요, '물가상승률'은 말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복리'에 해당합니다.
복리는 이자가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는 이자 부리방식으로 단리는 그에 비해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변하지 않는 이자 부리방식입니다. 이자가 늘어나는 방식과 이자가 늘어나지 않는 방식 중에 어떤 것이 시간이 갈수록 이자가 많은 것인가를 생각해 본다면 당연히 이자가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는 복리 방식이 많아지겠죠?
물가상승률이 복리방식이라면 저축은 어떤 방식이어야 할까요?
그렇다면 물가상승률이 복리방식이면 저축은 어떤 방식이여야 할까요?
저축 역시 당연히 복리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방식이 자동이든 수동이든 말이죠~!! 전문가들은 복리를 흔히 눈덩이에 비교하는데요, 눈을 효율적으로 크게 뭉칠 수 있는 방법은 굴리는 것 입니다. 눈덩이를 굴리면 눈이 점점 묻어서 눈덩이가 커질 뿐 만 아니라 오래 굴린다면 그 크기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이렇게 복리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최대한 시간을 활용하는 것인데요, 이자가 커질 수록 이자에 붙는 이자는 커지므로 푼돈이 아니라 목돈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 복리효과를 이용하여 저축 기간을 최대한 늘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신 그 수익률은 물가상승률 이상이여야만 하겠죠?
저축을 제대로 하는 3가지 방법
즉, 올바른 저축을 하는 첫번째 조건은 구매력기준을 고려하여 저축을 할 때 수익률이 물가 상승률 이상이여야 한다는 점이며, 두번째는 복리효과를 활용하여 저축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는 복리효과를 활용하여 저축할 때에는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저축 기간이 최대한 길어야한다는 것이죠. 소비를 하지 않고 그 만큼의 돈을 저축하는 것인 만큼 올바른 방법으로 저축을 하여 여러분이 꼭 목표를 이루었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 국민행복기금 공식블로그
- Total
- Today
- Yesterday
- 노후대비
- 비트코인
- 이더리움
- 해외여행자보험
- 인생리스크대비
- 자동운전시스템
- 굿초보 공동구매
- 이오스
- 라이트코인
- 굿초보 해외여행자보험
- 운전자보험
- 태아보험
- 해외여행보험
- 종신보험
- 굿초보
- 해외여행자보험 가입
- 보험
- 해외여행보험 가입
- 암호화폐
- 가장사망대책
- 가족사랑
- 여행자보험 가입
- 보장과저축
- 굿초보 여행자보험
- 은퇴
- 비트코인 골드
- 종신보험가입
- 비트코인 캐시
- 종신보험가입시기
- 실손보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