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퇴직 후 안정적인 노후 대비를 위한 연금보험 가입 시, 알아두면 유용한 세 가지 꿀팁을 준비했습니다.



첫째, 비과세 혜택 챙기기


비과세는 이자 소득에 대해 세금을 면제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금보험에서는 보험료를 5년 이상 납입하고 계약을 10년 이상 유지했을 때, 15.4%의 이자 소득세를 면제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을 통한 세액공제 혜택이 없는 대신 이자 소득세를 면제 받아, 비과세 혜택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둘째, 월 보험료 확인


월 보험료는 소득의 10%내외로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7년 신한은행의 만 20세에서 64세를 대상으로 실시한 통계에 따르면 총 소득의 평균 6.5%~11.6%의 잉여 자금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연금보험은 소득 형태에 따라 잉여 자금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연금 개시 연령 정하기


연금 개시 연령은 연금을 지급 받기 시작하는 나이를 의미합니다. 노후를 책임질 연금은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은퇴 시점을 연금 개시 연령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4년 통계청에서 실시한 한국인 은퇴 연령에 대한 평균은 65~68세입니다. 공식 은퇴 연령은 60세이니, 은퇴 예상 시점의 나이를 고려하여 65세 내외로 연금 개시 연령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