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핀테크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핀테크란 개념이 포괄할 수 있는 범위 또한 기준에 따라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기존 금융기관들의 인터넷 · 기술 기반 서비스들도 핀테크라 부르고 있다. 좁은 의미로는 금융기관이 수행하던 기능을 대체하는 혁신 서비스를 일컫기도 한다. 또한, 대표적인 성공 분야이자 어느 정도 정착해 인지도를 얻은 페이팔 등의 결제 서비스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인터넷 뱅킹이나 쇼핑 시에 액티브X나 공인인증서 등으로 큰 불편을 겪고 있는 한국에서는 핀테크란 말이 간편 결제를 뜻할 때가 많다.


 


각국의 기관에서도 핀테크 서비스를 기능과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기능에 따른 분류


IT 조사, 분석 업체인 벤처스캐너(Venture Scanner)에서는 매년 핀테크 기업들을 조사해 분류하고 있다. 2015년에는 1072개 기업을 조사해 12개 영역으로 나누었다. 이는 크게 네 가지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 결제 및 송금: 지급 결제(payments), 송금(remittances)

• 대출 및 자금 조달: 대출(lending), 자본 조달(equity financing),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소비자 금융(consumer banking)

• 자산 관리: 개인 자산 관리(personal finance), 개인 투자(retail investments), 기관 투자(institutional investments)

• 금융 플랫폼: 비즈니스 도구(business tools), 금융 조사(financial research), 금융 인프라(banking infrastructure)

 

 

비즈니스 모델에 따른 분류

 

핀테크 기업들이 어떻게 수익을 얻는지에 따라서도 분류가 가능하다. 다음은 영국 무역투자청(UK Trade & Investment)에서 분류한 체계다.

 

• 지급 결제(payments): 간편하고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수료 부과

• 데이터 분석(data and analytics): 개인 또는 기업 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며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 금융 소프트웨어 시장(financial software market):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금융 업무 및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 제공

• 플랫폼(platforms):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거래 기반 제공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78733&cid=42171&categoryId=58294

 

댓글